목록자기계발 (4)
리기베어의 블로그

무언가에 집중하는 삶, 그것은 정말 어렵고 힘든 일이다. 특히 자신이 싫어하거나 힘든 일에 집중하는 것이 제일 어려운 것 같다. 게다가 자신이 좋아하는 일도 귀찮게 여길 때가 많다. 그러기에 자신이 무슨 일을 하든지, 피상적인 작업을 아주 많이 하고 딥 워크는 소홀히 하는 경향이 많은 사람들에게 해당된다. 그렇지만, 딥 워크를 하는데 있어서 제일 쉬운 방법은 자신이 관심을 깊이 기울이는 무언가와 관련된 일을 하는 것이 행복하고 쉬운 딥 워크를 하는 방법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관심을 기울이는 쪽으로 자신의 마음을 두기 때문이다. 두뇌는 우리가 관심을 기울이는 대상을 토대로 세계관을 형성한다.Deep Work P.78 그러한 관심을 깊이 기울이는 무언가에 대하여, 어려운 일이든지 쉬운 일이든지 쉽게 몰입할..

성공(승리)하는 삶, 이것은 거의 모든 사람들이 추구하는 삶이다. 그렇지만, 성공(승리)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능력을 길러야 한다. 이 책에서는 성공하기 위해 2가지 핵심 능력에 대해 이야기한다. 1. 어려운 일을 신속하게 습득하는 능력2. 질과 속도 면에서 최고 수준의 성과를 올리는 능력Deep Work P.32 지금 이 정보화 시대에서 이 2가지 능력을 잘 발휘하는 것이 성공의 지름길이다고 말한다. 먼저 '어려운 일을 신속하게 습득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거기에 더하여 반복적으로 그 능력을 습득해내야 한다. 그리고 그 능력을 발휘하며 최고의 수준의 성과를 내어야 한다. 아무리 자신이 능력과 재능이 뛰어난다고 해도 그것을 행동으로 옮기지 않으면 성과도 없을 뿐더러 당연히 그 결과는 성공할 수 없는..

무언가에 집중하며 작업을 한다는 것은 말로는 쉬워보여도, 실제로 해보면 수많은 방해요소들 때문에 그것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이 책에서는 주요 방해요소 중 하나로 '네트워크 도구'를 언급한다. 지식 노동자들이 딥 워크에서 멀어지는 이유는 분명하다. 바로 네트워크 도구 때문이다.Deep Work P.11 네트워크 도구란 이메일과 문자메시지, 그리고 트위터와 페이스북과 같은 범주에 속하는 폭넓은 것이다. 그러한 네트워크 도구가 몰입하며 일하는 것, 즉 딥 워크를 방해한다고 이야기한다. 결국 네트워크 도구라는 것들을 하며 딴짓을 하면서 산만한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런 것을 '피상적 작업'이라고 말한다. 이 피상적 작업으로 나온 산출물은 질이 떨어지거나, 심하면 그 작업을 완수하지 못하는 상황까지 오게 된다..

목표란 노력과 열정을 쏟아붓게 만드는 필수 요소이자 원동력이다. 이러한 목표를 만드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그렇지만, 이러한 의심과 의구심이 생긴다.'내가 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해 책에서는 이야기한다. 은신처에 숨어 있는 뱀과 담판을 지을 정도로 용감한 사람은잠재성으로 존재하는 막대한 부에 접근할 가능성이 가장 크다.질서 너머 P.102 두려움에 사로잡힌다면 우리는 성공의 길에서 멀어질 수밖에 없다. 목표 달성과 성공은 용기 있는 자의 것이다. 절대로 방황하지 말고 목표를 설정하며 나아가자! 표류할 때는 목표 방향이 없으며, 그렇게 정처 없이 떠돌다 보면필요한 것과 원하는 것을 얻을 가능성이 극도로 낮아진다.질서 너머 P.118 질서 너머‘세상을 탓하기 전에 방부터 정리하라’ ..